건조로
Drying Oven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
수절 건조로
수분증발
도장 건조로
도막 건조용형상에 의한 분류
산형로
에너지 절감형
평로
에너지 절감형
박스형
배치타입의 적은 생산량
터널형
공간이 협소할 경우 적용
가열 방식에 따른 특징
| 구분 | 특성 | 비고 |
|---|---|---|
| 간접 열풍식 |
1. 가장 보편화된 가열 방법 2. 열 교환기를 통해 건조로 내부 공기를 가열 3. 주 사용 연료 : 경유, 벙커C유 |
1. 초기 작동시 온도 상승이 다소 늦음 2. 열 교환기 결함으로 연소가스 혼합시 그을음으로 인해 색상얼룩등 불량 발생 |
| 직접 열풍식 |
1. 연소된 가스가 건조로 내부로 직접 혼입되는 방식 2. 건조로 내부 공기의 주기적 교환 필요 3. 주 사용 연로 : LPG, LNG (열효율이 좋음) |
연소가스중 질소나 황화합물에 의해서 Sox, Nox가 발생되어 일정 농도이상시 황변 및 도막연화등의 문제 발생 가능(Gas Checking 현상) |
| 원 적외선 |
1. 복사열을 이용하여 피도물 가열 및 도료 경화 동시진행 방식 2. 열풍식보다 도료의 경화속도가 빠름 |
피도물이 복잡한 형태시 건조효과 저하 |
| 원 적외선 + 열풍 병용식 |
1. 열풍식의 단점인 초기 승온 문제를 보완한 방식 2. 수평 터널식 건조로 입구에 설치시, 에어커튼에 의한 도료 비산문제 보완가능 |
PCM 분체도장과 AL-WHEEL등 주물류 가열시 효과적임 |
| 고주파 가열식 |
1. 피도물을 자기유도가열 방식으로 단시간에 고온 승온 가능 2. 고가이며 다양한 형태에는 적용이 어려움 |
1. 강관 및 REBAR등의 가열 및 피도물 예열시 효과적임 2. 열풍식으로 장시간 가열시 산화되는 문제 보완가능 |
건조로 제작 Flow
고객과 설비 협의
현장 실측
Lay-out 시안 및
견적사양서 제출
Lay-out 사양 확정
세부 도면 승인
설비 제작
설비 현장 설치
시운전
고객과 설비 협의
현장 실측
Lay-out 시안 및
견적사양서 제출
Lay-out 사양 확정
세부 도면 승인
설비 제작
설비 현장 설치
시운전
시공 사진